by Spoon Radio 12 years ago
768
More like this
http://ask.nate.com/popup/print_qna.html?n=95589
움직이는 물건 보기 힘듬
http://cafe.naver.com/opencv/12756
갑자기 비정기적으로 공황발작(심장박동수가 심하게 빨라지고 숨이 가쁘고 질식할 것 같은 기분이 들며 현기증, 흉부 또는 복부의 통증, 비현실감, 심한 두려움, 감각이상 등의 증상이 갑작스럽게 나타나고 10분 이내에 그 증상들이 최고조에 달하는 것)이 반복적으로 일어나고 그에 대해 심한 걱정과 특정한 행동의 변화를 보이는 장애이다. 그리고 공황장애는 우울증과 굉장히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To ease the guilt of gluttony excessive exercise, fasting, self-induced vomiting, diuretics, taking enemas
Significantly less ability to regulate food intake and about eating disorders.
Repeatedly (at least twice a week, three months), excessive amounts of food intake.
Have a distorted body image. Shape and weight unduly influence self-evaluation.
Have distorted body image.Always feel depressed and impulsive acts.
Despite the current prevalence of underweight, abnormal fears about weight gain
동안신경마비(oculomotor palsy)핵간안구운동마비(internuclear ophthalmoplegia)폐쇄성수두증(obstructive hydrocephalus)위쪽과 아래쪽을 주시하는 수직주시(can't vertical gaze)가 되지 않는다.
, 소뇌의 손상에 의한 소뇌증상(cerebellar symptomes)과 상구(superior colliculus)와 덮개앞구역(pretectal region) 손상에 의한 주시장애(gaze paralysis), 동안신경마비(oculomotor palsy), 핵간안구운동마비(internuclear ophthalmoplegia)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운동과다증(hyperkinesia)이 나타난다. 운동과다증은 손상 반대측의 떨림(tremor)으로 나타나며, 아테토시스(athetosis), 또는 무도병(chorea)의 형태로 올 수도 있다.운동실조(ataxia)도 흔히 동반,상소뇌각의 손상으로 인한 근협조불능(asynergia), 근긴장감소증(hypotonia)도 나타난다.
동측의 안구운동이 제한되고 안검하수(ptosis)가 나타난다.눈은 외측으로 편재되고(외사시 external strabismus), 복시(diplopia)도 나타난다. 동안신경의 부교감신경절이전섬유(parasympathetic preganglionic fiber)의 손상으로 동공이 산대(mydriasis)되며, 동측 눈의 대광반사는 소실되고, 원근조절반사(accommodation reflex)도 잘 되지 않는다. 손상된쪽 눈에 빛을 비추었을 때 반대쪽 눈의 공감성대광반사(consensual light reflex)는 정상이다.
숨뇌는 말 그대로 숨을 쉬게 하는 즉, 생명을 유지하게 하는 생명 중추의 하나이면서 수많은 신경로와 신경핵들이 좁은 부위에 모여 있는 곳으로 뇌의 여러 부분 중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이다. 숨뇌는 생명을 유지하고 운동과 감각의 통로이며 하부 뇌신경과 관련된 기능을 한다.
숨뇌에 위치하는 수많은 교감, 부교감 자율신경계의 기능은 생명을 유지하는 것이다. 자발적으로 호흡을 하게 하고 심장을 뛰게 하며 혈압, 맥압, 혈류 등 생체 징후를 의식과 관계없이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중간뇌에서부터 숨뇌까지 위치하는 ‘망상체’ 라고 하는 부위는 사람을 가장 사람답게 하는 의식을 관장하는 부분으로 이 부위의 손상은 영구적인 혼수 상태 및 여러 기능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It will looks like Vanish instantly
Can not recognize moving objects
http://health.naver.com/medical/bodyOrgan/detail.nhn?bodyOrganCode=CA000126&selectedTab=detail#con
대뇌반구의 앞에 있는 부분으로 기억력, 사고력 등을 주관하고 다른 연합영역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조정하고 행동을 조절하는 기관이다. 이마엽의 아랫부분은 눈확의 천장을 이루는 골판 바로 위에 붙어 있으며 뒤쪽에서 마루엽이, 뒤쪽에는 관자엽이 위치한다.
또 다른 실험의 한 결과로 미국 아이오와대 의과대학의 스티븐 앤더슨(Steven W. Anderson) 박사는 전전두엽 피질이 외상이나 수술 등으로 손상되면 비도덕적인 행동이 사회에 미치는 결과를 인식하고 윤리적 판단을 내리는 능력이 결핍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앤더슨 박사에 따르면, 신경과학전문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생후 15개월 때 얻어맞고 쓰러져 전전두엽을 다친 20세 여자와 생후 3개월 때 뇌수술로 역시 전전두엽이 손상된 23세의 남자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했다. 이들 남녀는 당시 뇌 손상에서 완전히 회복되어 교육수준이 높은 부모 밑에서 정상적인 교육을 받으며 정상적으로 성장했다. 그러나 두 사람은 사춘기가 되면서 행동이 표변해 습관적인 거짓말, 좀도둑질, 싸움질, 무책임한 성행위를 하기 시작했으며, 자신의 행동에 대해 죄책감을 전혀 보이지 않았다. 두 사람은 정신테스트 결과 상황에 대한 올바른 판단을 내릴 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앤더슨 박사는 이렇듯 비정상적인 판단력과 폭력적인 성향의 원인을, 어렸을 때의 전전두엽 손상이 결국 정신병과 유사한 증세를 가져온 것으로 보고 있다. 앤더슨 박사는 “이 연구결과만 가지고 결론을 내리기는 아직 이르며 반사회적인 행동이 반드시 전전두엽 피질의 손상 때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비행의 신경학상 원인과 정신병의 생물학적 원인을 규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두엽이 손상되면 복잡한 행동을 체계적으로 배열해서 하는 능력, 동시에 여러가지 일들에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 또 여러가지 일에 주의 를 기울이다가도 주의의 초점을 융통성 있게 조절해서 바꾸는 능력, 맥 락을 파악하고 복잡한 상황에서 요점을 가려내는 능력, 주의를 분산시 키는 것들이나 간섭하는 것에 대항하는 능력, 어떤 자극에 대해 즉각적 으로 부적절하게 반응하려는 욕구를 억제하는 능력, 그리고 행동으로 내보이는 것을 지연하는 능력 등등이 눈에 띄게 저하됩니다.
어떤 환자들은 철부지 어린아이가 되어 버리고,무책임하고 과장된 행동을 보이고 또 화를 잘 내는 성격으로 변합니다. 어떤 환자들은 자발성, 호기심, 독창성 등을 상실하고, 감정이 무뎌지고 정신기능과 행동이 무감각해지고 둔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어떤 사람들은 판단력, 통찰력 등이 침식되둣 사 그라지고 만족감을 지연할 수 있는 능력을 잃고,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도 못합니다. 또 다른 사람들은 추상적인 추론, 창의력, 문제 해결, 정신 적인 융통성 등에서 결손이 생기고, 서둘러 결정해 버린다든지 구체적 인 것이나 자극에 지나치게 매달리는 경향을 보입니다."
측두-두정엽. 경색 환자에서 거울상 쓰기
3. 두정엽 ; 피부 감각을 받아들이며 시공간 정보 처리
[시공간]
우측 두정엽이 손상된 환자의 편측무시 증세
편측무시 환자가 시계를 그리라는 지시에 따라 그린 시계 그림
한쪽 감각사건이 의식 속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소거(extinction)라고 한다.
왼쪽 몸을 씻지도 않고, 옷도 오른쪽만 걸치는 행동을 보일 수 있다.
식탁의 왼편에 있는 음식을 보지도 않고 먹지도 않는다.
오른쪽 얼굴만 화장을 할 수도 있다.
팔다리나 운동기관의 이상이 없이 아주 익숙한 행동(옷의 단추를 끼는 것, 옷을 입는 것, 밥먹는 것)을 하지 못한다.
빗질이나 칫솔질을 하라고 했을때 잘 해내지 못한다.
칫솔을 잡는 손 모양은 바르지만 입 가까이에 손을 대고 닦는 모양을 한다.
자기 손가락의 각 명칭을 말하지 못하게 되거나, 지시된 손가락을 고를 수 없게 된다.
사자 그림을 보여 주었을 때 실인증 환자들은 사자를 그대로 따라 그릴 수 있고 "동물의 왕이 무엇인가?"라고 물어 보았을 때 "사자"라고 대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자 그림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인식하지 못한다.
시각실인증
실인증은 '알지 못한다'라는 문자적 의미를 갖는 것으로 기본적인 감각 이상, 지능 장애, 주의력 결핍, 실어증에 의한 이름대기 장애 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자극을 인식하지 못하는 증상
cerebrum, (大腦)
대뇌
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추신경계의 중추로 운동, 감각, 언어, 기억 및 고등 정신 기능을 수행하는 기관
야오이쿠사마 / 세로토닌
Jerre Levy 등은(1972) 실험을 위해 여러 얼굴 사진을 찍었다. 그리고 나서 사진의 가운데를 반으로 잘라서, 서로 다른 얼굴을 반씩 붙였다. 그 후 이 합성 사진을 화면에 빠르게 보여주었다. 피험자에게는 가운데를 쳐다 보라고 지시를 했다. 따라서 뇌의 왼쪽, 오른쪽으로 각기 다른 얼굴 부분의 시각 정보가 보내졌다. 피험자에게 무엇을 보았느냐고 질문을 했다. 그랬더니 “아이”를 보았다고 답했다. 왜냐하면 피험자에게 “무엇”이라고 물었기 때문에, 피험자는 좀 더 “단어”에 촛점을 맞추었고, 단어는 뇌의 왼쪽 부분에서 관장을 하기 때문에, 뇌의 왼쪽으로 시각 정보를 보내 주는 오른쪽의 시각 자극을 보았다고 답하는 것이다. 그런데 피험자에게 왼손으로 보았던 사람을 가리켜 보라고 지시하면, 피험자는 안경을 쓴 여인을 손으로 가리켰다. 놀랍게도 분할뇌 환자는 이렇게 얼굴이 반씩 합성된 사진이 이상하다는 것을 몰랐다. [출처] 시각정보처리, 뇌량의 역할, 분할뇌의 특성(2) |작성자 snuet
For people who suffer from this disease, it does not recognize the familiar face, they will feel a strange emotion.
Family and close friends, or personal, you think that they are just as fake . 가족과 친한 친구, 또는 개인적인 의미를 지닌 물건들이 마치 가짜인 것처럼 생각되는 매우 희귀한 질병이다.
자동차 사고로 뇌 손상을 입은 앨런
앨런이 아내를 볼 때, 그는 자신의 아내와 꼭 닮은 여성을 보게 됩니다. 그러나 감정적 내용이 없기 때문에 그 영상을 진짜처럼 느끼지 못하는것이지요. 이런 모순을 해결하려는 시도가 뇌에서 일어나는데, 그때 뇌는 유일하게 가능한 해결책을 들고 나옵니다. '저 여자는 가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