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ies: All

by Kim Tae Jeong 12 years ago

580

국어300제

효과적인 국어 교육을 위해 다양한 전략과 지도가 필요하다. 학생들의 독서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질문 주고받기, 시각화, KWL 전략, 독서 게임 등 다양한 방법이 활용된다. 또한 받아쓰기 지도에서는 의미난이도와 단계별로 맞춤형 지도가 중요하며, 표기와 발음의 일치 여부에 따라 다른 접근이 필요하다. 문학 감상에서는 학생들의 반응을 격려하고, 생각을 확장하며, 관련성을 고려한 질문이 필요하다.

국어300제

국어300제

다의어

소리가 같고 뜻도 서로 관련이 있는 낱말

동음이의어

같은 소리지만 뜻이 전혀 다른 낱말

탐문

확장하게 하기
정교화하게 하기
명료화하게 하기
입증하게 하기
정보의 출처를 밝히도록 요구
초점화하게 하기
학생 반응이 이탈되었을 때 핵심 질문에 초점을 맞춤

발문

확산적 발문
다양한 범위 내 응답을 요구
발산적, 창의적 사고 촉진
열린 발문
수렴적 발문
사실적 수준의 발문
제한된 범위 내 규정된 응답을 요구
수렴적 사고 촉진
닫힌 발문.

읽기 평가 방법

관찰법
포트폴리오
학기 동안이나 주로 학기 말에 종합하여 성적에 반영한다

결과 활동철

과정 활동철

성취 능력에 관한 종합적인 수행의 기록을 파일로 정리
작은 서류 가방. 그림책.
오독 분석법
오류 유형

자기 수정

의미 대치

무의미 대치

생략

삼입

무반응

저학년의 독서 평가에 적용
글을 소리내어 읽게 하고 유창성을 평가한다
프로토콜 분석법
학생의 읽기, 쓰기 정도, 사고과정, 초인지 상태를 확인
사고의 과정을 말로 표현하게 한다
사고구술법
중요도 평정법
빈칸 메우기 검사
추측, 사전지식 활성화 유도
서답형
완성형
단답형
진위형
단순 진위형
선다형
부정형
합당형
다답형
정답형
최선답형

독서 부진아 지도

질문 주고받기
읽기 후
KWL 전략 활용
읽기 전
Knowing-Wanting-Learning
독서 게임과 퀴즈
장면 떠올리기
시각화 해 보기

독서 토론 지도

토의망식 독서 토론
통합적 독서 토론
이야기식 독서 토론
문학 반응 공유 및 감상 중심 토론
주제나 문제 해결 중심 토론

정보전달 화법

시범보이기
설명하기
묘사하기
보고하기

듣기 전 활동

질문하기
내용 예측하기
목적 확인하기
배경지식 구축하기

맥락지도방안

맥락 점검하기
맥락 만들기
맥락 바꾸기
맥락 관련짓기
맥락 정교화하기
맥락선택하기
맥락확인하기

언어의 본질

언어의 기능-사고
기호언어,이미지언어,신체언어,비기호언어 등
모든 유형의 언어, 모든 매체를 언어로 본다
언어의 기능-기호언어
기호 언어에 국한된다
음성언어, 문자언어

문학감상에서의 질문

해석,요약,종합하게 하기
관련성을 생각하게 하기
증거와 근거를 가지고 감상하게 가르치기
생각을 마무리하고 확장하기
반응이 가치 있음을 격려하기

받아쓰기 지도 단계

단계
표기와 발음이 불일치하는 경우

12단계:음운 첨가(색연필,솜이불,한여름)

11단계:격음화(국화,입학,좁히다)

10단계:경음화(길가,신고,눈동자)

9단계:구개음화(같이,굳이,밭이)

8단계:비음화(국물,먹는,앞마당)

7단계:받침 규칙(꽃,숲,무릎)

6단계:용언어간받침+(모음으로 시작되는)어미결합(굳어도,낮아서,늙으면)

5단계:받침+(모음으로 시작되는)조사결합(책을,구름은,흙이)

4단계:한 낱말 안에서 연음되는 낱말(걸음,국어,놀이)

표기와 발음이 일치하는 경우

3단계:초성+중성+중성(가족.건물.소방차)

2단계:초성+이중모음(겨우.계시다)

1단계:초성+단모음(나비.개나리.뿌리)

표기난이도
의미난이도